편의점 창업, 누구나 알고있는 레드오션시장, 말처럼 쉽지않다.
국내에는 CU, GS25, 세븐일레븐(미니스톱), 이마트24, C스페이스가 편의점 협회에 가입되어 운영중이다.
각각의 편의점들은 업계지표인 총매출과 영업이익, 점포수등 한치 앞을 내다볼수 없을만큼 치열한 경쟁중에 있다.
모두가 알만한 편의점들은 모두 대기업, 중견이상의 튼튼한 상장기업들이다.
(CU - BGF리테일, GS25 - GS리테일, 세븐일레븐 - 롯데, 이마트24 - 신세계이마트)
현재 점포수 1위는 CU, 점포 평균매출 1위는 GS25 이다.
고금리/고물가가 한동안 지속될 예정에 따라 불황에 강한 편의점 업계의 성장은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CU, GS25의 양강구도가 더욱 강해지겠지만, 최근 미니스톱을 인수한 세븐일레븐의 반격도 기대된다.
이마트24는 나름의 독자노선을 선택하여 로열티 구조가 아닌 월회비를 채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편의점 창업은 타사업군에 비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다.
그말은 창업비용이 낮다라는 것인데, 각사별 타입별로 공통적인것은 인테리어와 집기를 본부가 투자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위탁점포(본부임차) 비중을 감늘리고 있어, 건물 임대차시 보증금과 권리금 부담이 적다는 것도 특징이다.
대부분 2,270만원에서 2,420만원을 기본투자금으로 시작하며, 여기에 임대보증금과 시설비용이 추가되어
개설비용은 천차만별이다. 계약기간은 2년에서 5년 사이가 제일 많고, 그 이상을 계약하는 경우는 드물게 있다.
전국의 편의점이 5만개를 넘어섰다. 1km당 편의점 밀집도는 06년 3.5개에서 21년 14개로 대폭 늘었다.
공정위 자료, 21년 기준 5만 2168개로 전년대비 7% 증가, 처음 5만개를 넘겼다.
모든 편의점 브랜드는 41개, 년평균 매출액은 5억4300만원으로 0.1% 감소했다.
*참고 - 치킨 브랜드 683개, 가맹점포수 2만 9373개, 평균매출액 2억 7900만원
편의점이 레드오션 시장이라지만, 매년 매출액, 점포수, 영업이익은 지속 신장중인 것이다.
코로나기간에도 성과유지를 잘한 유통채널로 편의점이 꼽힌다. 실로 대단하지 않은가?
브랜드 이용 순위는 GS25 > CU > 세븐일레븐 > 이마트24 > 미니스톱 > 365플러스 > 스토리웨이 순이다.
각 브랜드 주 이용율은 차이가 큰 반면, 성별/연령/가구구성/이용빈도 등에서는 브랜드별 주 이용자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은 흥미롭다.
브랜드별 주 이용목적은 매장이 가까워서가 84.4%이다. 사실 가까운게 최고인건 어쩔 수 없다.
그래서 편의점은 상권분석시 뭐니뭐니해도 반경내 직접배후가 제일 중요한 것이다.
가까운 편의점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안타깝게도 대체할 수 있는 채널이 많지는 않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편의점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대체할 채널이 없을것 같다는 의견도 많았다.
조금 아쉽지만 대체 채널이 있을 것 같다는 답도 56.1%였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하면 아직도 늦지 않았다. 이제는 없어질 수 없는 채널이 되었다.
레드오션이라는 말은 이미 검증이 완료되었다고 해석해도 된다. 실패확률이 낮다는 말이다.
앞으로의 편의점 발전 방향을 예상해보고, 시대적인 흐름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해 보려고 한다.
창업시 유의사항, 창업 방법, 상권분석 기법, 업종별 다양한 접근 방법, 각사 타입별 장단점, 편의점 회사 구조, 경영주 수익 구조, 필요한 인허가사항등 실패없는 유리한 창업을 위해 여러가지를 공유할 생각이다.
'[창업이야기] > [편의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06 [편의점 정산서] 내역부터 자세히 (81) | 2023.10.16 |
---|---|
ep.05 [세븐일레븐 편의점] 가맹조건 및 개설조건 (90) | 2023.10.12 |
ep.04 [이마트24 편의점] 창업조건 및 가맹타입 (63) | 2023.10.09 |
ep.03 [GS25 편의점] 창업조건 및 개설조건 (5) | 2023.10.08 |
ep.02 [CU편의점] 창업조건 및 개설비용 확인 (2) | 2023.10.07 |